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저장 용량을 확인할 때 ‘GB’와 ‘GiB’라는 단위를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저장장치 제조업체와 운영체제가 서로 다른 단위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B와 GiB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단위를 사용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GB와 GiB의 정의
GB(Gigabyte, 기가바이트)와 GiB(Gibibyte, 기비바이트)는 모두 데이터 용량을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하지만 두 단위는 각각 10진법과 2진법을 기반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숫자로 환산하면 차이가 발생합니다.
- GB(Gigabyte): 1GB는 10억 바이트(1,000,000,000 Byte)입니다. 이는 10진법(Decimal)을 따르는 단위로, 주로 하드디스크(HDD), SSD, USB 등의 저장 장치를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
- GiB(Gibibyte): 1GiB는 1,073,741,824 바이트(1,024^3 Byte)입니다. 이는 2진법(Binary)을 따르는 단위로, 운영체제에서 용량을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2. 왜 GB와 GiB가 다를까?
컴퓨터는 2진법을 기반으로 동작하지만, 저장장치 제조업체는 10진법을 기준으로 용량을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즉, 제조업체는 1GB = 1,000MB = 1,000,000KB로 표기하지만, 운영체제는 이를 2진법으로 변환하여 1GB ≈ 0.93GiB로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500GB 용량의 SSD를 구매하면 운영체제에서 약 465GiB로 표시됩니다.
이는 용량이 손실된 것이 아니라, 단순히 표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차이입니다.
3. GB와 GiB의 변환 공식
GB와 GiB를 변환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GB = 0.93GiB (10진법 → 2진법 변환)
- 1GiB = 1.07GB (2진법 → 10진법 변환)
아래의 예시를 통해 실제 변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기 용량 | 10진법(GB) 기준 | 2진법(GiB) 기준 |
---|---|---|
128GB | 128GB | 약 119GiB |
256GB | 256GB | 약 238GiB |
512GB | 512GB | 약 476GiB |
1TB (1000GB) | 1000GB | 약 931GiB |
2TB (2000GB) | 2000GB | 약 1862GiB |
4. GB와 GiB의 사용처
GB와 GiB는 사용되는 곳이 다릅니다.
GB가 사용되는 경우
- 저장장치(SSD, HDD, USB, SD 카드) 제조업체 표기
- 네트워크 속도(1Gbps = 1,000Mbps)
- 클라우드 저장소(예: Google Drive, Dropbox)
GiB가 사용되는 경우
- 운영체제(Windows, macOS, Linux 등)의 저장 용량 표기
- RAM(메모리) 용량 표시
- 소프트웨어 설치 시 필요한 용량
5. 왜 운영체제는 GiB를 사용할까?
운영체제는 기본적으로 2진법을 기반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1GiB = 1,024^3 Byte를 사용합니다. 반면, 저장장치 제조업체는 10진법을 사용하여 마케팅 용량을 표기합니다.
이 차이로 인해 운영체제에서 하드디스크나 SSD의 용량이 줄어든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TB(1000GB) 하드디스크를 구매하면 운영체제에서 약 931GiB로 표시됩니다.
이는 운영체제가 2진법 기준으로 용량을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6. GB와 GiB를 구분해야 하는 이유
많은 사용자가 SSD나 HDD를 구매할 때, “표기된 용량보다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이 적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제조업체가 GB 단위를 사용하고, 운영체제가 GiB 단위로 표시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RAM과 저장장치의 용량을 비교할 때도 단위가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6GB RAM은 실제로 약 16GiB RAM과 동일하지만, 256GB SSD는 운영체제에서 약 238GiB로 표시됩니다.
이런 차이를 미리 이해하면 저장장치 구매 시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7. 결론 – GB와 GiB 차이 이해하고 활용하자!
GB와 GiB는 단순한 표기 차이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10진법과 2진법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저장장치 제조업체는 GB 단위를 사용하고, 운영체제는 GiB 단위를 사용하기 때문에 용량 차이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SSD, HDD, USB 등의 저장장치를 구매할 때 운영체제에서 표시되는 실제 사용 가능 용량(GiB 기준)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RAM과 소프트웨어 설치 시 요구 용량도 GiB 단위를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적절한 용량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제 GB와 GiB의 차이를 확실히 이해했으니, 저장장치를 구매하거나 용량을 계산할 때 더 이상 헷갈리지 않겠죠? 😊
'IT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1 바탕화면 달력 프로그램 추천! 편리한 일정 관리 (0) | 2025.03.29 |
---|---|
외장하드 인식 안 될 때 해결 방법 (0) | 2025.03.26 |
하드디스크 레이드(RAID)란? 안정성과 성능을 높이는 저장 장치 기술 (0) | 2025.03.26 |
데스크탑 PC 배터리의 역할과 중요성 – 완벽 가이드 (2) | 2025.03.23 |
윈도우11 PIN번호 삭제 방법: 안전하고 간편한 가이드 (1) | 2025.03.23 |